본문 바로가기
땡스원스 생활정보

아기 치아 나는 시기와 관리법, 언제부터 어떻게 시작할까?

by 땡스원스 2025. 5. 15.
반응형
반응형

아기의 첫 치아가 올라오는 시기는 부모에게도 하나의 이정표입니다.
기쁜 일이기도 하지만, 갑작스럽게 아기가 칭얼거리거나 침을 많이 흘리는 등 예상치 못한 변화가 생기면 당황하기도

하죠.
이 글에서는 아기 치아가 언제 나는지,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지, 그리고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지 단계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아기 치아, 보통 언제 나기 시작할까?

대부분의 아기는 생후 4~10개월 사이에 첫 치아가 나기 시작합니다.
물론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12개월이 넘어 첫 이가 나는 경우도 있으니 조급해하지 않아도 됩니다.

월령예상되는 치아
4~7개월 아래 앞니 (중절치)
8~12개월 위 앞니
9~13개월 양 옆니 (측절치)
13~19개월 첫 번째 어금니
16~23개월 송곳니
23~33개월 두 번째 어금니
 

※ 전체 유치는 약 20개이며, 대부분 만 2세~3세 사이에 모두 나게 됩니다.


2. 치아가 올라올 때 나타나는 증상은?

아기에게 아래와 같은 변화가 보이면 치아가 올라오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침을 유난히 많이 흘림
  • 이유 없이 짜증을 내거나 칭얼거림
  • 손가락이나 장난감을 자주 입에 넣음
  • 잇몸이 붉거나 부어있음
  • 밤잠을 평소보다 자주 깨는 경향

이런 증상은 일시적이며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다만 열이 심하거나 기침, 설사 등이 동반된다면 다른 원인일 수 있으니 소아과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아기 치아 관리, 언제부터 시작해야 할까?

치아 관리의 시작은 첫 치아가 올라오면서부터입니다.
처음에는 칫솔이 아닌 거즈나 실리콘 손가락 칫솔을 이용해 잇몸과 치아를 닦아주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관리 시기별 방법

  • 첫 치아가 올라왔을 때: 젖은 거즈로 하루 1~2회 닦기
  • 치아 4개 이상일 때: 아기용 연질 칫솔 사용 시작
  • 생후 18개월~24개월: 무불소 또는 소량 불소치약 도입 가능
  • 만 2세 이후: 하루 2회 양치 습관 시작, 가글이나 치실은 필요 없음

4. 치아가 올라올 때 통증 완화 방법

아기가 잇몸을 자꾸 문지르거나, 무언가를 깨물고 싶어 할 경우 통증을 완화해 줄 수 있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 치발기 활용: 냉장 보관한 실리콘 치발기 사용
  • 차가운 수건: 젖은 거즈를 냉장고에 잠시 넣어 아기에게 줘보기
  • 잇몸 마사지: 깨끗한 손가락으로 부드럽게 마사지

※ 치아가 올라올 때 너무 심하게 칭얼대거나 수면장애가 지속되면 치과 상담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5. 초보 부모를 위한 유치 관리 팁

  • 단 음식을 피하기: 과즙, 이유식 중 당분이 많은 음식 주의
  • 수유 후 바로 닦기: 밤중 수유 후 치아 표면에 남는 우유 성분 제거
  • 정기적인 검진: 첫 치아가 난 후 6개월~1년 내 소아치과 첫 방문 권장
  • 치아우식 예방 도포 고려: 치과에서 불소 도포 가능

6. 자주 묻는 질문 (Q&A)

Q1. 아기 이가 너무 늦게 나는데 괜찮을까요?
A. 대부분 생후 4-10개월 사이에 첫 이가 나지만, 13 -15개월까지도 개인차가 있어요. 만약 18개월이 넘어도 하나도 없다면 소아치과 검진을 권장합니다.

 

Q2. 아기 이가 순서대로 안 나요. 괜찮은가요?
A. 치아 나는 순서는 일반적인 경향일 뿐, 순서가 달라도 큰 문제는 아닙니다. 다만 비정상적으로 한쪽만 자라거나 비대칭이 심하면 확인이 필요할 수 있어요.

 

Q3. 치아가 날 때 열이 나는 건 정상인가요?
A. 미열은 있을 수 있지만 38도 이상의 고열, 설사, 기침 등이 동반된다면 감기나 장염 같은 다른 원인을 의심해야 합니다.

 

Q4. 아기 잇몸이 부어 보이고 하얗게 보여요. 치아가 나려는 걸까요?
A. 네, 잇몸이 하얗게 부풀거나 뭔가 튀어나온 것처럼 보이면 곧 치아가 나올 수 있다는 신호입니다.

 

Q5. 아기가 자꾸 손가락이나 물건을 씹으려고 해요. 괜찮나요?
A. 치아가 올라올 때 잇몸이 간지럽거나 통증이 있어 무언가를 씹는 행동이 많아집니다. 위생적인 치발기를 활용해 주세요.

 

Q6. 첫 이가 나면 언제부터 칫솔질을 해야 하나요?
A. 첫 치아가 나오면 거즈나 실리콘 손가락 칫솔로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치아가 4개 이상 나면 유아용 칫솔을 사용할 수 있어요.

 

Q7. 칫솔질할 때 치약은 꼭 써야 하나요?
A. 만 2세 이전에는 물로만 닦아도 괜찮지만, 무불소 또는 삼켜도 안전한 유아용 치약을 소량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Q8. 밤중 수유 후 양치하지 않으면 충치가 생기나요?

A. 네, 특히 밤중 수유 후 입 안에 당분이 남으면 유치 충치 위험이 높아집니다. 가능한 한 젖은 거즈로 닦아주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Q9. 유치가 썩으면 나중에 나는 영구치에도 영향이 있나요?
A. 유치 아래에는 영구치가 자라고 있기 때문에, 유치 건강이 나쁘면 향후 영구치 배열과 구강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Q10. 소아치과는 언제 처음 가야 하나요?
A. 첫 치아가 난 후 6개월 이내, 또는 만 1세 전후에 첫 방문을 권장합니다. 조기 검진으로 충치 예방은 물론 양치 습관 교육도 함께 받을 수 있어요.


마무리하며

아기 치아는 성장의 한 단계이자, 올바른 구강 건강 습관을 시작하는 첫걸음입니다.
부모가 부담 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유치 관리도 간단하게, 그러나 꾸준히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기 첫 이가 언제 났는지, 여러분의 경험도 댓글로 나눠보세요!

반응형